전시/노출 관리

채널홈 설정

컴포넌트 노출 설정

설정한 메뉴는 채널홈에서 모두 노출됩니다

채널홈 콘텐츠 컴포넌트의 노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창작자PICK 리뷰 : 구독자 댓글을 PICK한 경우, PICK 최신순으로 4개 노출됩니다. 'PICK 댓글 노출 관리'에서 수동으로 노출 댓글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많이 본 콘텐츠 : 일간/주간 랭킹 콘텐츠가 탭 별로 3개 이상인 경우 노출됩니다.

  • 주제별 콘텐츠 : 생성된 카테고리가 3개 이상, 카테고리 별 콘텐츠가 5개 이상인 경우 노출됩니다.

  • 재생 목록 : 생성된 재생목록이 4개 이상, 재생목록 별 콘텐츠가 1개 이상인 경우 노출됩니다.

콘텐츠 노출 설정

텍스트 콘텐츠가 중심인 채널은 리스트형, 이미지나 영상이 중심인 채널은 피드형을 권장합니다.

  • 리스트형 : '제목+요약문+소형 썸네일' 으로 구성된 노출 스타일입니다.

  • 피드형 : '대형 썸네일+제목' 으로 구성된 노출 스타일입니다.

페이월 설정

미터드 페이월은 미구독(로그인 사용자)자에게 설정 횟수만큼 무료로 콘텐츠 열람을 제공합니다.

  • 미터드 페이월 설정(=사용함) : 판매 설정에서'구독 상품(=Y)+단건 상품(=N)'으로 표시된 콘텐츠의 무료 열람이 가능해 집니다.

  • 월(30일) 단위로 1~10개까지 제공할 갯수를 설정합니다.

  • 동일한 유료 콘텐츠를 중복해 보면, 미터드 페이월로 제공하는 횟수도 중복 차감됩니다.

  • 구독자는 미터드 페이월을 적용 받지 않습니다.

  • 단건으로만 판매되는 콘텐츠는 미터드 페이월을 설정해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 무료 프로모션 콘텐츠는 미터드 페이월을 설정해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 미터드 페이월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없다면(ex. 구독 상품을 판매하지 않음, 단건 상품만 판매), 미터드 페이월을 설정해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미터드 페이월 : 무료 콘텐츠 경험은 유료 구독으로 연결되는 loss leader! (미끼상품)

  • 프리미엄콘텐츠는 네이버 여러 서비스에서 다양한 기준으로 노출되거나, 유료 구독자가 콘텐츠를 지인에게 공유하며 전파됩니다.

  • 불특정 다수에게 콘텐츠를노출할 때, 처음 접한 사용자에게는 "유료"는 진입 장벽이 될 수있습니다.

  • (미터드 페이월이 있다면) 사용자는 무료 제공 횟수만큼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보다 쉽게 유료 구독으로 연결됩니다.

무료 프로모션 콘텐츠 : 채널 소개, 채널의 대표 콘텐츠는 무료 프로모션 설정을 하세요!

  • 무료 프로모션 콘텐츠는 설정 기간 동안 누구나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 본인 콘텐츠의 매력을 느끼고 구독으로 이어지도록, 채널 소개글과 대표 콘텐츠만큼은 꼭 무료 프로모션으로 설정해 두세요.

검색 노출 설정

스튜디오에서 발행한 콘텐츠를 네이버 검색 서비스에 노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본 기능을 사용하면 콘텐츠 내 유료 내용이 요약 또는 발췌되어 네이버의 다양한 검색 서비스에서 노출/활용될 수 있습니다.

  • 전체 콘텐츠 : 채널 내 발행된 모든 콘텐츠를 네이버 검색에 노출하도록 한번에 간편하게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으로 지정하면 이전에 '콘텐츠별' 옵션을 사용했더라도 모든 콘텐츠가 검색에 노출되도록 일괄 변경됩니다.

  • 콘텐츠별 : 콘텐츠 발행 또는 수정 시점에 네이버 검색에 노출할지의 여부를 개별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이전에 '전체 콘텐츠' 옵션을 사용 중이었다면 기존에 발행한 콘텐츠는 이전 설정(검색 허용)이 계속 유지되어 있습니다. 검색 제외가 필요한 경우 각 콘텐츠 수정 메뉴에서 제외 처리하면 됩니다.

검색 노출 설정 옵션을 중도 변경하면 네이버 검색 서비스 내 실제 반영까지는 최대 수일까지 기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미터드 페이월 기능으로 콘텐츠 무료 열람 기회를 함께 제공해보세요. 네이버 검색에서 신규 유입된 이용자의 구독/구매 확률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본 기능은 네이버 검색 서비스에서의 노출을 반드시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실제 노출 결과 및 대상 검색 서비스는 이용자의 검색 키워드 및 추천 맥락에 따라 매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검색 지면에서는 본 기능의 설정 여부와 관계 없이 채널 또는 콘텐츠의 내용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웹문서, 외부 검색 플랫폼(구글 등) 내 검색 엔진 크롤링으로 인한 문서 수집 및 제공 시)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